임베디드 리눅스를 쉽게 접근할수 있게 배포된 “Buildroot”를 라즈베리파이 3에 올리는 방법
얼마전에 코드도사에서는 라즈베리파이3에 “OpenWRT”를 직접 컴파일 하여 올리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라즈베리파이3에 또다른 오픈소스 빌드환경인 “Buildroot”를 올리는
얼마전에 코드도사에서는 라즈베리파이3에 “OpenWRT”를 직접 컴파일 하여 올리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라즈베리파이3에 또다른 오픈소스 빌드환경인 “Buildroot”를 올리는
2019년 현재의 IT 기술에서 많이 회자되고 있는 사업모델은 오픈 소스(Open Source)입니다. 오픈 소스가 왠 사업모델이냐고요? 오픈 소스는 작성된 소스를 누구나
코드도사에서는 소형 임베디드 장치 개발 환경인 아두이노(Arduino)에 대하여 소개를 드린적이 있습니다. 아두이노는 Atmel사의 CPU가 탑재된 Microcontroller 인데요, 개발자 뿐만 아니라
라즈베리파이와 더불어 아두이노(Arduino)는 IT 업계에서 오픈소스 플렛폼으로 매우 유명한 플렛폼 중에 하나입니다. 라즈베리파이가 32 bit 고성능 ARM Core 기반의 임베디드
라즈베리파이 활용법중 하나로 이번 시간에는 라즈베리파이 3 B+에 OpenWRT를 올려서 무선 AP를 만들어보는 시간을 같도록 하겠습니다. 생각보다 쉽게 간단하며 라즈베리파이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