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G 오류: …: 다음 서명들은 공개키가 없기 때문에 인증할 수 없습니다: NO_PUBKEY 5E64E954262C4500 해결법
리눅스에서 패키지를 설치할 때 간혹 아래와 같은 현상이 발생할 때가 있다. codedosa@codedosa-Aspire-ES1-331:~/source$ sudo apt-add-repository ppa:mosquitto-dev/mosquitto-ppa Unable to init server: Could
리눅스에서 패키지를 설치할 때 간혹 아래와 같은 현상이 발생할 때가 있다. codedosa@codedosa-Aspire-ES1-331:~/source$ sudo apt-add-repository ppa:mosquitto-dev/mosquitto-ppa Unable to init server: Could
리눅스 기반의 환경에서 개발을 하려면 흔히 “터미널 프로그램”을 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Putty” 나 “MobaXterm”, “TeraTerm” 같은 프로그램들이다. 최근에 Windows(Windows
코드도사에서 제공해 드리는 게임시리즈! 이번에는 아주 오래전 부터 오락실에서 봤던 게임인 “팩맨(PAC-MAN)” 게임입니다. “팩맨”은 1980년에 출시된 벌써 40여년이 지난 고전게임중에
지금으로부터 30여년전인 1980년대 후반부터 ~ 1990 년대에는 게임(Game)은 오락실에 가거나 가정용 게임기 혹은 PC로 주로 즐겼던거 같습니다. 게임도 네트워크로 수많은
코드도사에서 얼마전에 OpenWRT에 대하여 포스팅을 한적이 있었는데요, OpenWRT를 올리고 난 다음에 라즈베리파이에서 전원을 인가하고 부팅을 해보면 터미널에 아래와 같이 OpenWRT
안녕하세요 코드도사입니다. 우분투(Ubuntu)는 처음 배포판을 설치할때 사용자가 설정한 계정과 패스워드로 로그인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계정으로 우분투를 사용해야
최근에는 리눅스 개발환경으로 우분투(Ubuntu)를 많이 사용합니다. 저도 본래는 페도라(Fedora) 배포판을 서버에 설치하여 개발환경을 구축하였으나 현재는 안드로이드 및 임베디드 리눅스의 개발환경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