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베디드 리눅스를 쉽게 접근할수 있게 배포된 “Buildroot”를 라즈베리파이 3에 올리는 방법
얼마전에 코드도사에서는 라즈베리파이3에 “OpenWRT”를 직접 컴파일 하여 올리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라즈베리파이3에 또다른 오픈소스 빌드환경인 “Buildroot”를 올리는
얼마전에 코드도사에서는 라즈베리파이3에 “OpenWRT”를 직접 컴파일 하여 올리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라즈베리파이3에 또다른 오픈소스 빌드환경인 “Buildroot”를 올리는
리눅스(Linux) 에서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을 개발할때 주로 C/C++를 사용합니다. Windows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때 MFC, WinAPI 등을 통해서 IDE인 Visual Studio를 사용하여 개발하는
코드도사에서 얼마전에 OpenWRT에 대하여 포스팅을 한적이 있었는데요, OpenWRT를 올리고 난 다음에 라즈베리파이에서 전원을 인가하고 부팅을 해보면 터미널에 아래와 같이 OpenWRT
라즈베리파이 활용법중 하나로 이번 시간에는 라즈베리파이 3 B+에 OpenWRT를 올려서 무선 AP를 만들어보는 시간을 같도록 하겠습니다. 생각보다 쉽게 간단하며 라즈베리파이와
코드도사에서는 오픈소스 라우터 개발환경인 OpenWRT에 대하여 소개해 드린적이 있습니다. 소개와 함께 OpenWRT를 올릴 타켓 디바이스를 라즈베리파이3로 설정하여 컴파일까지 진행을 해봤는데요,
코드도사에서 포스팅 한 내용중에서 프로그래머의 종류를 보면 임베디드 시스템 프로그래머로 분류된 프로그래머가 있다고 소개를 해 드렸습니다. 그렇다면 임베디드 시스템 프로그래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