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베디드 리눅스를 쉽게 접근할수 있게 배포된 “Buildroot”를 라즈베리파이 3에 올리는 방법

얼마전에 코드도사에서는 라즈베리파이3에 “OpenWRT”를 직접 컴파일 하여 올리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라즈베리파이3에 또다른 오픈소스 빌드환경인 “Buildroot”를 올리는

더 읽기

라즈베리파이는 얼마나 안정적일까?

현재 집에서 “라즈베리파이 3” 에다가 OpenWRT 를 올려서 전원을 켜논 상태로 테스트 중에 있습니다. 별도로 특별하게 사용하는 기능은 딱히 없고

더 읽기

임베디드 리눅스 프로그래머의 처우, 전망은 어떨까?

얼마전에 코드도사에서는 “프로그래머의 종류”와 “임베디드 리눅스의 개념”에 대하여 소개를 해 드린 적이 있습니다. 위 글을 통해서 “임베디드 리눅스 프로그래머”에 대한

더 읽기

리눅스가 어렵다는 편견(?)은 왜 생겼을까?

안드로이드의 성공에 힘입에 리눅스는 현재 인기있는 OS 중에 하나입니다. 우분투는 리눅스 진영에서 아주 인기있는 배포판이 되었고 라즈베리파이는 IoT 디바이스 개발

더 읽기

라즈베리파이 3 B+에 Windows 10 ARM을 설치하는 방법

이 글의 제목을 보신 분들중에는 약간 반신반의 하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라즈베리파이에 Windows 10을 설치한다고? 그렇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라즈베리파이 3

더 읽기

라즈베리파이에 OpenWRT 로 무선 AP 만들기(RaspberryPi 3 B+)

라즈베리파이 활용법중 하나로 이번 시간에는 라즈베리파이 3 B+에 OpenWRT를 올려서 무선 AP를 만들어보는 시간을 같도록 하겠습니다. 생각보다 쉽게 간단하며 라즈베리파이와

더 읽기

OpenWRT를 라즈베리파이 3 B+에 올려보기

코드도사에서는 오픈소스 라우터 개발환경인 OpenWRT에 대하여 소개해 드린적이 있습니다. 소개와 함께 OpenWRT를 올릴 타켓 디바이스를 라즈베리파이3로 설정하여 컴파일까지 진행을 해봤는데요,

더 읽기

라즈베리파이에서 시리얼 통신 설정 및 시리얼 통신 하기 (RaspberryPi 3 B+)

라즈베리파이와 PC간의 통신방법에는 몇가지가 있습니다. 제일 간편한 방법은 라즈베리파이에 이더넷 케이블이나 WiFi를 연결하여 SSH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여 라즈베리파이와 PC간의 데이터 통신이

더 읽기

Open Source Network Router 개발 환경인 OpenWRT 소개

리눅스는 근래 들어서 가장 흥미롭고 널리 쓰이는 운영체제(OS)가 되었습니다. 특히 최근에 구글 안드로이드에서 리눅스 커널을 안드로이드의 커널로 탑재하면서 리눅스의 그

더 읽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