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직접 개발하여 사용하는 유무선공유기? 바나나파이 WiFi6 라우터 소개
오픈소스 기반의 WiFi6 라우터를 발견하다
제가 이전 직장에서 가장 오래있었던 회사는 “네트워크 라우터” 를 개발 및 제조하여 판매하는 회사였습니다. 해외를 대상으로 한 회사였고 제가 개발했던 제품이 해외에 꽤나 팔렸었었지요.
그때 처음으로 OpenWRT 라는 오픈소스 기반 라우터 패키지를 알게 되었으며 네트워크 장치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던거 같네요. 물론 지금은 관련 개발을 하진 않고 있습니다.

OpenWRT로 자체 프로젝트를 계획했으나 현재까지는 이런저런 이유로 인해 통 진행을 못하고 있습니다 ㅎㅎ 회사 핑계, 귀차니즘 핑계 등이 있겠네요.
사실 어떤 하드웨어에 OpenWRT를 사용하여 응용해볼지 판단이 어려운 것도 있었습니다. 기존에 라즈베리파이로 시도를 해보려다가 특별한게 생각나지 않아서 잠시 머뭇거린점도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OpenWRT 를 다뤄보고 싶은바… 한동안은 손을 놓고 있었지만 우연히 발견한 OpenWRT 기반의 제품을 보고 다시 한번 다뤄볼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Banana Pi BPI-WiFi 6 라우터, Wifi SoC 듀얼 코어 ARM Cortec A9 통합 5GE 파이 MAC 보드, 케이스 OpenWRT 포함, TR6560 + TR5220
바로 요 제품입니다. 오픈 하드웨어 중에 하나인 “바나나파이” 로 유명한 제조사에서 바나나파이 WiFi 6 라우터 제품이 출시가 되어 있네요.
이 제품의 특징은 개발을 하기 위한 EVB 뿐만 아니라 실제로 WiFi 6 라우터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안테나와 기구등이 포함된 완제품입니다.

1 WAN + 3 LAN 에 SPI NAND 플래쉬, 2×2 2.4G, 5G 안테나들이 실제로 제공이 되어서 실생활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요렇게 안테나와 겉 케이스가 같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집이든 사무실이든 사용도 가능하게 됩니다. 시중에 판매하는 일반적인 와이파이 공유기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메인 CPU는 ARM Cortex-A9 기반의 TR6560 입니다. Triductor 라는 회사의 SoC 인데 이번에 구입하면서 처음 알게 되었네요. WiFi SoC는 TR5220 이라는 칩셋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요 제품은 “알리 익스프레스” 를 검색하다가 우연히 발견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케이스까지 포함되어 있으면서 가격은 대략 35$ 정도 하니 충분히 하나 구입하여 사용해볼만할 거 같았습니다.
이 제품을 구입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뭐니뭐니 해도 “OpenWRT” 를 지원하고 내가 직접 커스텀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위 링크에는 바나나파이 위키이며 여기에 바나나파이 WiFi 6 라우터에 관련된 문서들이 들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서를 통해서 OpenWRT 를 익히면서 사용하는게 가능합니다.
바나나파이 WiFi 6 라우터의 깃허브는 위 링크와 같습니다.
바나나파이 WiFi 6 라우터 살펴보기
802.11 ax 까지 지원되는 바나나파이 WiFi 6 라우터를 알리 익스프레스를 통해 구입을 했습니다. 주문한지 대략 일주일 만에 도착한거 같습니다.

포장은 꽤나 잘 되어 있는 상태였습니다. 뽁뽁이에 잘 쌓여져 있었고 박스가 파손되거나 하진 않았습니다.

겉 종이박스의 모습입니다.

박스를 열어보니 바나나파이 WiFi 6 라우터 1대와 랜 케이블 1개, 어뎁터 1개가 들어 있습니다. 별도의 설명서는 없네요.

라우터 본체를 꺼내서 안테나를 다 편 모습입니다.

라우터 케이스의 LED가 표시된 전면의 모습입니다. WAN 1포트, LAN 3포트, 2.4G, 5G WPS, 파워 등의 LED가 있네요.

라우터 케이스의 뒷면 모습입니다. 일반적인 라우터 케이스와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입니다.
바나나파이 WiFi 6 라우터 활용계획
이제 바나나파이 WiFi 6 라우터를 가지고 뭘 할지 생각해 보니 일단 OpenWRT 프로젝트 용도로 쓸 생각입니다.
- OpenWRT 정보 공유 및 활용
- 바나나파이 커스텀 작업
- 기능 개선 및 펌웨어 공유
코드도사 깃허브에 포크하여 업데이트(방금 Fork 하였습니다 아래 링크 참조)- 기타 재밌는 작업 및 강좌
차근차근 관련 내용을 올려볼 예정입니다. (물론 언제 진행될지는 여전히 미지수입니다 ㅎ)
코드도사 깃허브의 Fork 링크는 위와 같습니다.